이수 구분 |
교과목 |
교 과 목 명(영문명) |
학점 (학점-이론-실습) |
비고 |
|
---|---|---|---|---|---|
전 공 기 본 |
EL62525 EL63449 EL63574 EL63581 EL66199 EL69792 |
영어의미론연구(Studies in English Semantics) 언어학연구(Studies in Linguistics) 영어음운론연구(Studies in English Phonology) 영어학연구방법론(Theories & Methods in English Linguistics) 현대언어분석이론(Current Theories of Linguistic Analysis) 영어통사론(English Syntax) |
3 3 3 3 3 3 |
영어학 전공 |
|
EL63546 EL66203 EL69782 EL69787 EL71587 EL71588 EL71589 EL71590 EL71591 |
영미문학연구방법론(Methodology of English Literary Researches) 현대영국희곡연구(Studies in Contemporary British Drama) 미국소설의기원과발전(Origin and Development of American Novel) 현대미국희곡연구(Studies in Contemporary American Drama) 19세기영미낭만시세미나(Seminar on the 19th-century British & American Romantic Poetry) 낭만주의이후의시연구(Studies in English & American Poetry after Romanticism) 현대영국소설세미나(Seminar in Modern British Novel) 이론과비평(Theory and Criticism) 문화이론연구(Studies in Cultural Theories) |
3 3 3 3 3 3 3 3 3 |
영문학 전공 |
||
EL70119 EL70120 EL70121 EL71598 EL71614 EL71617 |
번역학연구방법론(Approaches to Translational Studies) 번역이론(Translation Theory) 고급한국어(Advanced English-Korean Translation) 번역입문(Introduction to Translation) 고급영어(Advanced English) 영상번역(Translation of Film Scripts) |
3 3 3 3 3 3 |
번역학 전공 |
||
전공선택 | 영어학전공 | EL62340 EL62448 EL62454 EL62535 EL62558 EL62888 EL63311 EL63470 EL63571 EL63572 EL63573 EL63575 EL63577 EL63578 EL63580 EL63886 EL66776 EL66783 EL70486 EL70874 EL71638 EL71639 EL71640 EL71641 EL71642 |
사회언어학연구(Studies in Sociolinguistics) 생성통사론특강(Topics in Generative Syntax) 영어통사론연습(Seminar in English Syntax) 형식의미론(Formal Semantics) 생성음운론(Generative Phonology) 논문연구(Thesis Research) 심리언어학연구(Studies in Psycholinguistics) 역사및비교언어학연구(Historical & Comparative Linguistics) 영어사특강(Special Topics on the History of English) 영어어형론(English Morphology) 영어어형론특강(Special Topics in English Morphology) 영어음운론특강(Seminar in English Phonology) 영어통사론연구(Studies in English Syntax) 영어통사론특강(Special Topics in English Syntax) 영어학연구(Studies in English Linguistics) 응용언어학연구(Studies in Applied Linguistics) 음운론연구(Studies in Phonology) 화용론연구(Studies in Pragmatics) 생성음운론특강(Topics in Generative Phonology) 의미론특강(Special Topics in Semantics) 영어음성학연구(Studies in English Phonetics) 현대영문법연구(Studies in Modern English Grammar) 영어의미론연습(Practice in English Semantics) 의미론특수과제(Issues in Semantics) 영어의미론세미나(Seminar in English Semantics) |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
|
영문학전공 | EL60009 EL62435 EL62888 EL66467 EL69783 EL69785 EL69802 EL69803 EL69804 EL69805 EL69807 EL69808 EL69951 EL71622 EL71623 EL71624 EL71625 EL71628 EL71629 EL71630 EL71631 EL71632 EL71633 EL71635 EL71636 |
19세기영국소설연구(Studies in the 19th Century English Novel) 영미시세미나(Seminar in British and American Poetry) 논문연구(Thesis Research) 희곡이론(Dramatic Theory & Criticism) 현대미국소설연구(I)(Studies in Modern American Novel(I)) 영국르네상스희곡연구(Studies in English Renaissance Drama) 최근영미시연구(Studies in Contemporary English Poetry) 현대미국소설연구(II)(Studies in Modern American Novel(II)) 미국소수민족문학연구(Studies in American Minority Literature) 최근영국작가연구(Studies in Contemporary British Novelists) 현대문학이론과최근영미희곡(Modern Literary Theories and Contemporary British & American Drama) 사무엘베켓연구(Studies in Samuel Beckett) 셰익스피어연구(Studies in Shakespeare) 17세기이전영시세미나(Seminar on the English Poetry before the 17th-century) 17세기영시세미나(Seminar on the 17th-century English Poetry) 근현대영미시특강(Special Topics in Modern English & American Poetry) 영미시비평연구(Studies in Criticism of English Poetry) 최근영국소설연구(Studies in Contemporary British Novel) 포스트모던극과공연(Postmodern Drama and Performance) 최신비평이론(Contemporary Theory and Criticism) 비평이론사(History of Theory and Criticism) 문학,미학,세계(Literature, Aesthetics, and the World) 전지구화의문화이론(Cultural Theories of Globalization) 탈식민문화이론연구(Studies in Decolonial Cultural Theories) 문학사상연구(Studies in Thoughts of Literature) |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
||
번역학전공 | EL70106 EL70108 EL70116 EL70126 EL70127 EL70133 EL70134 EL71643 EL71644 EL71645 EL71646 EL71647 EL71648 EL71649 EL71650 EL71651 EL71652 EL71653 EL71654 EL71656 EL71658 EL71659 |
영상미디어론(Theory of Filmic Media) 컴퓨터와번역(Computer and Translation) 과학기술번역(Translation of Scientific and Technical Texts) 영한문장구역(English-Korean Sight Translation) 한영문장구역(Korean-English Sight Translation) 사회문화번역(Translation of Society and Culture) 논문연구(Thesis Research) 번역과언어학(Translation and Linguistics) 문학번역(Translation of Literary Texts) 산업경제번역(Translation of Industrial & Economic Texts) 정치법률번역(Translation of Political and Legal Texts) 대조분석과번역(Contrastive Analysis & Translation) 오류분석과번역(Error Analysis & Translation) 전문용어연구(Terminology Studies) 번역학특강(Topics in Translation Studies) 번역교수법(Translation Pedagogy) 기계번역(Machine Translation) 번역의역사(History of Translation) 담화와번역(Discourse & Translation) 주제특강(Special Lecture Series) 영상번역프로젝트(Film Translation Project) 고급영어숙달(Advanced English Training) |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
영역별 수료학점(2010학번 이후)
학과(부)명 | 전공기본 | 전공선택 | 논문연구 | 수료학점 | ||
---|---|---|---|---|---|---|
영어영문학과 | 석사과정 | 영어학 전공 | 6 | 15 | 3 | 24 |
영문학 전공 | 6 | 15 | 3 | 24 | ||
번역학 전공 | 9 | 18 | 3 | 30 | ||
박사과정 | 영어학 전공 | 6 | 24 | 6 | 36 | |
영문학 전공 | 6 | 24 | 6 | 36 | ||
번역학 전공 | 9 | 21 | 6 | 36 |
교과요목
EL63449 언어학연구(Studies in Linguistics)
최근의 언어학적 이론과 언어 분석, 원리에 대한 연구. 여기에는 음성학,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및 의미론의 제 분야가 포함된다
EL63581 영어학연구방법론(Theories and Methods in English Linguistics)
영어학의 제 분야(음운론, 통사론, 의미론, 화용론 등) 연구에 필요한 여러 언어 분석 이론들의 개관과 영어학 연구에 필요한 자료 수집, 정리, 논문 작성 과정의 기초 훈련이다.
EL66199 현대언어분석이론(Current Theories of Linguistic Analysis)
Chomsky 이론을 개관하면서 다른 여러 이론, 즉 기능 문법 이론, 관계 문법 이론 등을 터득케 한다.
EL69792 영어통사론(English Syntax)
영어의 여러 통사 현상들 및 그 현상들의 이론적 분석하여 영어의 문장구조를 정확히 이해하고 기술하는 기초를 형성한다.
EL63574 영어음운론연구(Studies in English Phonology)
영어의 음운체계 및 음운분석의 제 이론과 방법을 다룬다.
EL62525 영어의미론연구(Studies in English Semantics)
영어 의미론의 기본 개념들과 이론들을 개관한다.
EL71638 영어음성학연구(Studies in English Phonetics)
영어를 중심으로 인간언어의 소리체계에 대하여 조음적이고 음향적인 분석을 한다.
EL70486 생성음운론특강(Special Topics in Generative Phonology)
표준생성음운론과 그 이후의 여러 가지 수정 이론들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EL66776 음운론연구(Studies in Phonology)
인간언어의 음운체계 분석에 있어서 구조주의 음운론과 생성주의 음운론을 비교하면서 연구한다.
EL62558 생성음운론(Generative Phonology)
1960년대 이후에 나타난 생성음운론, 특히 자립분절음운론, 어휘음운론, 운율음운론과 최근의 최적성 이론들을 고찰한다.
EL63575 영어음운론특강(Special Topics in English Phonology)
영어음운 분석에서 중요 쟁점들을 생성음운론의 여러 가지 이론으로 분석한다.
EL63572 영어어형론(English Morphology)
역사적, 이론적 관점에서의 영어 낱말 형성에 관한 연구이다.
EL63573 영어어형론특강(Special Topics in English Morphology)
역사적, 이론적 관점에서의 영어 낱말 형성에 관한 연구이다.
EL63577 영어통사론연구(Studies in English Syntax)
영어 통사론 분야에서 논의되는 주요 주제들을 선정하여 주제별로 최근 발표된 여러 연구들을 분석 토의한다.
EL62448 생성통사론특강(Advanced Topics in Generative Syntax)
생성문법이론의 발달과정을 통해 중심적으로 다루어진 고급주제들을 선정하여 최근의 연구동향 및 미래의 전망을 집중적으로 논의한다. (Intensive investigation of major issues in the development of generative theory of grammar.)
EL71639 현대영문법연구(Studies in Modern English Grammar)
현대영문법의 언어학적 기술들을 검토한다. (Intensive investigation of linguistic descriptions of Modern English grammar.)
EL62454 영어통사론연습(Topics in English Syntax)
영어의 다양한 통사 현상들에 대한 선행연구 및 현재의 연구동향을 논의한다. (Discussion of previous literature and current trends in the research of various syntactic phenomena in the English language.)
EL63578 영어통사론특강(Advanced Topics in English Syntax)
영어통사 분석에서 쟁점이 되어 온 중요한 고급주제들을 중심으로 최근의 연구동향과 미래의 전망을 집중적으로 다룬다. (Intensive investigation of advanced topics in English Syntax.)
EL70874 의미론특강(Special Topics in Semantics)
의미론에서의 주요한 논의의 쟁점들을 주제별로 다룬다.
EL71640 영어의미론연습(Practice in English Semantics)
영어의 의미현상을 다양한 의미접근법으로 분석한다.
EL62535 형식의미론(Formal Semantics)
형식의미론의 기본 개념과 이론들을 텍스트를 중심으로 살핀다.
EL71641 의미론특수과제(Issues in Semantics)
최신의 의미론 주제들을 논문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EL71642 영어의미론세미나(Seminar in English Semantics)
인지의미론과 어휘의미론의 다양한 주제들을 고찰한다.
EL66783 화용론연구(Studies in Pragmatics)
언어 외적인 요소들이 언어 연구에 있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언어 연구의 폭을 넓힌다.
EL62340 사회언어학연구(Studies in Sociolinguistics)
사회와 관련된 언어 현상을 연구하는데, 특히 언어 변이형의 특성과 기능이 언어 공동체 속에서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변화하는지를 구명한다.
EL63311 심리언어학연구(Studies in Psycholinguistics)
언어학과 심리학과의 관계, 이론 언어학에서 제공하는 개념들의 심리적 타당성, 언어 습들 과정 (특히 아동 언어 습득), 의미와 사과와의 관계들에 관한 최근의 이론들을 개관한다.
EL63886 응용언어학연구(Studies in Applied Linguistics)
언어의 본질에 관한 이론적 지식을 바탕으로 언어가 주요소가 되는 실제 문제들 - 외국어 교육, 번역, 언어 정책, 스피치 병리학 등 - 의 개선에 대해 고찰하고, 특히 외국어 교육의 과학화 및 개선책에 관해 구명한다.
EL63470 역사및비교언어학연구(Historical and Comparative Linguistics)
현대 영어의 의미론, 음운론, 통사론, 어형론 등을 사적 및 비교 고찰을 통하여 그 발전 방향을 파악하고, 공시적 방법에서 부족한 면을 통시적 방법에서 보충함을 물론 영어 연구에 보다 깊이 있는 방법론을 제시 및 이해를 증진시킨다.
EL63571 영어사특강(Special Topics on the History of English)
영어가 현대 영어의 모습이 되기까지 고대, 중세, 근대 영어의 사적 고찰을 통하여 영어의 특징, 형태 및 문법에 대하여 이해하고, 현대 영어의 성립 과정과 특징을 파악하여 영어자체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증진시킨다.
EL63580 영어학연구(Studies in English Linguistics)
통사론, 음운론, 의미론, 화용론 등 영어학 전반에 대한 개관과 각 학문 분야들과의 교차 분야(interface)에 관해 살펴본다.
EL62888 논문연구(Thesis Research)
EL63546 영미문학연구방법론(Methodology of English Literary Researches)
영문학의 제 분야 (시, 소설, 희곡, 비평 등) 연구에 필요한 여러 문학이론과 관점들을 개관하고 영문학 연구에 필요한 자료 수집, 정리, 논문작성 등의 기초를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훈련한다.
EL71587 19세기영미낭만시세미나(Seminar on the 19th-century British & American Romantic Poetry)
① 19세기 영 미시의 낭만주의 사조를 연구한다.
② 19세기 영 미의 주요 작가와 작품을 연구한다.
EL71588 낭만주의이후의시연구(Studies in English & American Poetry after Romanticism)
낭만주의 이후에 이룩된 새로운 시학을 주된 시인과 작품의 분석을 통해 그 전개과정과 사상적 배경을 개괄한다.
EL69782 미국소설의기원과발전(Origin and Development of American Novel)
미국소설을 발생에서부터 19세기까지 발전해온 과정을 살피면서 그것과 영국소설과의 변별성을 점검해보고, 아울러 그것이 어떻게 미국국민문학으로서의 위치를 확립하면서 대표적인 문학 장르로 정착해 가는가를 이론과 작품을 통해서 규명한다.
EL71589 현대영국소설세미나(Seminar in Modern British Novel)
20세기 영국소설의 특징을 기법과 주제 면에서 살펴보고, 20세기 초 모더니즘부터 1950년 이전의 영국소설, 특히 Rudyard Kipling, Joseph Conrad, D. H. Lawrence, James Joyce, E. M. Forster, Virginia Woolf와 같은 작가의 작품을 읽고 분석한다.
EL66203 현대영국희곡연구(Studies in Contemporary British Drama)
J. Osborne 이후 영국 New Drama 작가들의 작품을 유럽의 연극 사조와 더불어 이해하게 된다.
EL69787 현대미국희곡연구(Studies in Contemporary American Drama)
20세기 초에서 최근에 이르기까지의 미국 극작가들의 작품을 통하여 미국희곡의 경향 및 특징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그 흐름을 고찰한다.
EL71590 이론과비평(Theory and Criticism) (영어강의)
Literature studies today are deeply involved with various postmodern critical theories to develop reading strategies to break genuinely from logocentric and ontological models of text interpretation. This seminar will enable you to understand what the reader really experiences while reading the literary text and how "literary criticism" is to be done. The main class materials will be selections from the writings by the philosophers and literary critics of the twentieth and twenty-first centuries, but we will also read and discuss ancient Eastern Taoists or Buddhists.
EL71591 문화이론연구(Studies in Cultural Theories)
영미 문화연구의 차원을 넘어서 최근 새롭게 등장하는 다양한 문화이론들과 그 양상들을 살펴보고 특히 문화이론의 장 자체의 변화를 검토하고자 한다.
EL71622 17세기이전영시세미나(Seminar on the English Poetry before the 17th-century)
① 소네트의 변천과정을 연구한다.
② 주요 작가의 작품과 사상을 연구한다.
EL71623 17세기영시세미나(Seminar on the 17th-century English Poetry)
① 형이상학 시와 밀턴 시를 연구한다.
② 주요 작가의 작품과 사상을 연구한다.
EL71624 근현대영미시특강(Special Topics in Modern English & American Poetry)
근현대영미시의 흐름을 개관정리하고, 주된 시인과 작품을 집중 분석 연구한다.
EL62435 영미시세미나(Seminar in British & American Poetry)
영미시의 시적 경향과 그 대표적인 작품을 분석하며 제 기법과 사상적 배경을 고찰한다.
EL71625 영미시비평연구(Studies in Criticism of English Poetry)
영미시의 비평조류를 개관정리하고 이를 주요 시인들의 작품에 적용하여 분석 해석한다.
EL69802 최근영미시연구(Studies in Contemporary English Poetry)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영미시의 시적 경향과 그 대표적인 작품을 분석하며 제 기법과 사상적 배경을 고찰한다.
EL69783 현대미국소설연구 I(Studies in Modern American Novel I)
20세기 전기 미국소설의 흐름을 개관 정리하고, 그 중 주요작가들과 작품들을 집중적으로 분석 연구한다.
EL69803 현대미국소설연구 II(Studies in Modern American Novel II)
20세기 후기 미국소설의 흐름을 개관 정리하고, 그 중 주요 작가들과 작품들을 집중적으로 분석 연구한다.
EL69804 미국소수민족문학연구(Studies in American Minority Literature)
미국 소수민족, 예컨대 아프리카계, 아시아계, 원주민계 미국문학의 흐름과 특성을 살펴보고 그 중 주요 작가 작품들을 집중적으로 조명해 본다.
EL60009 19세기영국소설연구(Studies in the 19th-Century English Novel)
19세기 영국소설의 전반적인 흐름과 특성을 개관하고, Jane Austen, Charles Dickens, Emily Bronte, Charlotte Bronte, George Eliot, Thomas Hardy 등 당대 주요 작가들의 대표작을 분석하고 연구한다.
EL69805 최근영국작가연구(Studies in Contemporary British Novelists)
2차 세계대전 이후 영국의 주요 작가―John Fowles, Martin Amis, Julian Barnes, Graham Swift, Angela Carter, Penelope Lively, Peter Ackroyd, Kazuo Ishiguro, Jeanette Winterson, etc―들의 작품을 연구하고 그들의 공통적인 특성을 고찰한다.
EL71628 최근영국소설연구(Studies in Contemporary British Novel)
최근 영국소설에 나타난 동향을 살펴보고 전후 대표적인 작가들―John Fowles, Doris Lessing, Jean Rhys, Julian Barnes, Ian McEwan, Graham Swift, Angela Carter, Zadie Smith 등―의 작품 경향과 그들의 공통적인 특성을 고찰한다.
EL69785 영국르네상스희곡연구(Studies in English Renaissance Drama)
Shakespeare를 제외한 영국 르네상스 시대 희곡 작가들의 작품들을 다룬다.
EL69807 현대문학이론과최근영미희곡(Modern Literary Theories and Contemporary British & American Drama)
최근 영미 드라마를 데리다, 라깡, 들뢰즈, 그리고 문화이론 등 다양한 현대 문학 이론과 함께 연구한다.
EL69808 사무엘베켓연구(Studies in Samuel Beckett)
사무엘 베켓의 드라마, 소설, 시 작품들을 다양하게 읽음으로써 그의 문학 세계에 대한 이해와 연구의 방향을 제시한다.
EL66467 희곡이론(Dramatic Theory & Criticism)
고대희랍시대부터 현대까지 세계 희곡이론들을 시대 및 사상적 배경을 통해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주요 작품과의 연관관계를 연구한다.
EL69951 셰익스피어연구(Studies in Shakespeare)
Shakespeare의 주요 작품들을 되도록 많이 읽는 동시에, 최근 Shakespeare 비평의 경향과 연구 성과를 고찰하게 한다.
EL71629 포스트모던극과공연(Postmodern Drama and Performance)
포스트모더니즘을 시기와 미학적 측면에서 이해하고, 포스트모던극의 형성과 수용을 문화이론이나 공연계보학과 연관지어 논의한다. 특히 역사와 기억, 인종과 성 소수자의 문제, 그리고 포스트모던극이 지닌 저항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EL71630 최신비평이론(Contemporary Theory and Criticism)(영어강의)
The main purpose of this seminar is to enable the students to understand correctly the presently debated critical theories for literary criticism. We will first spend almost all of the given time exploring the writings of the most prominent and influential contemporary thinkers. You will also find that poststructural critical theories truly need Eastern thinkers' precious contribution to its further development as we briefly examine the thought of such ancient Eastern philosophers as Laozi and Chuanzi. Then later, we will go on to prove the value of the theories as we see some movies and disscuss them.
EL71631 비평이론사(History of Theory and Criticism) (영어강의)
This course is a good opportunity learn the main stream of the history of ideas with the purpose of using them for literary criticism. We will examine the ideas of the such Western figure as Kant, Nietzsche, Heidegger, Bakhtin, Derrida Benjamin, Levinas, Lacan, Lyotard, Kristeva, and one ancient Buddhist text. The focus of the seminar will be on "language," "literature," and "ethics" that are matters of primary significance when it comes to literary criticism. Other theorists will be introduced or briefly mentioned in the class.
EL71632 문학, 미학, 세계(Literature, Aesthetics, and the World)(영어강의)
This course will lead the students to obtain knowledge of critical theory and aestherics and to use it for their work of criticizing literature and world. We will focus on "postmodern ethics," a wholly new issue that prevails more and more in criticism of literary texts, film and the world. First and foremost, the ethical relation(s) between the "Subject"/"Self" and the "Other(s)" is transphenomenal relation, and this relation constructs the hardcore reality of our everyday life. We will read and discuss texts of both Eastern and Western philosophies in the light of its potential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contemporary Western-American thought in critical theory and literary criticism.
EL71633 전지구화의문화이론(Cultural Theories of Globalization)
전지구화 시대 문화이론은 더 이상 일국의 민족적 문화이론을 탐구하는 데 국한되지 않고 문화 간 충돌과 교섭과 타협의 현상을 섬세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EL71635 탈식민문화이론연구(Studies in Decolonial Cultural Theories)
유럽중심주의적이고 백인중심주의적인 문화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한편 여성, 소수인종 등의 소수자적 시각에서 문화이론을 재구성하고자 한다.
EL71636 문학사상연구(Studies in Thoughts of Literature)
문학사상의 변화를 문화이론의 시각에서 살펴보는 한편 시대와 사회현실과의 관련 속에서 사고함으로써 문학의 고유한 특수성을 사상사적으로 조명하고자 한다.
EL62888 논문연구(Thesis Research)
EL71598 번역입문(Introduction to Translation)
일반적인 수준의 영어문장을 한국어로 옮기는 과정을 집중적으로 교육한다. 이 수업은 직역과 의역의 다양한 과정을 이론적이고 실제적으로 살펴보고 한국어와 영어의 논리전개방식의 차이를 살펴본다. 이 과목은 영한번역입문에서 영어와 한국어의 위치를 바꾼 것이다. 낮은 단계의 한국어 텍스트를 시작으로 한국어의 논리전개 방식이 영어로 어떻게 옮겨지는가를 살펴본다.
EL70120 번역이론(Translation Theory)
다양한 번역이론과 쟁점들을 소개하고 번역의 이론적 역사를 검토한다.
EL70121 고급한국어(Advanced Korean)
번역과목의 고급 단계로 학생들은 영상관련 텍스트나 번역관련 텍스트를 선정하여 실제로 번역하는 과목이다.
EL71614 고급영어(Advanced English)
초·중급 이상의 영어능력을 갖춘 학생들에게 보다 사회문화, 정치, 경제 등 보다 전문적인 내용의 영어문장을 읽고 쓰고 말하고 듣는 종합적 능력을 가르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EL70119 번역학연구방법론(Research Methodology in Translation Studies)
번역학의 다양한 영역들을 소개하고 번역학 연구에 필요한 접근방법의 이론적 기초를 개괄적으로 교육시키는 과목이다.
EL71617 영상번역(Translation of Film Scripts)
본 과목은 영상예술의 대화부분을 가장 공감할 수 있는 언어로 재창조하는 작업에 중점을 둔다. 극장용 외화, TV용 외화, 다큐멘터리, 만화 등 영상예술을 필요에 따라 더빙이나 자막으로 번역해 시청자에게 원작의 감동을 그대로 전달하는 방식을 훈련한다.
EL71643 번역과언어학(Translation and Linguistics)
언어학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이들 언어학적 지식이 번역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고찰한다.
EL71644 문학번역(Translation of Literary Texts)
문학번역의 정확한 지식을 바탕으로 시, 소설, 산문, 드라마 등 실제 여러 문학작품의 번역에 초점을 맞춘 과정이다. 영미 문학 작품 및 한국의 대표적인 문학작품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짐과 동시에 영한, 한영 번역을 양면으로 시도한다.
EL70116 과학기술번역(Translation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Texts)
과학기술 분야의 번역전략을 개괄한다. 학생들은 의학, 생화학, 환경, 기계공학, 건축, 컴퓨터·통신, 에너지 등의 다양한 텍스트를 번역하면서 문체, 구문, 문화 및 전문용어의 문제를 해결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학회지, 사용설명서, 특허문서 등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형태의 기술문서 작성법도 익힌다.
EL70133 사회문화번역(Translation of Social & Cultural Texts)
본과정은 단순한 의사소통이 아니라 다른 사회와 문화의 고유한 특질을 포착하여 문화적 차이를 번역하고 이해하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수사학적 스타일, 형식적 특성, 사회문화현상 등의 구체적 주제를 중심으로 탐구한다.
EL71645 산업경제번역(Translation of Industrial & Economic Texts)
세계 경제 및 금융, 통상 분야를 중심으로 기업의 각종 상업문을 포함한 다양한 텍스트를 번역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생들은 경제와 기업활동의 기본개념을 실제 텍스트에 적용하면서 이 분야의 전문용어에 대한 구사력도 함양한다.
EL71646 정치법률번역(Translation of Political and Legal Texts)
국제 위기, 협력, 개발, 정부구조 등이 관련된 현안문제 중심의 정치적 텍스트와 함께 사문서, 계약서, 조약, 법조문 등 일상적인 번역수요가 있는 법률 텍스트의 번역 경험을 제공한다.
EL71647 대조분석과번역(Contrastive Analysis & Translation)
언어학적 대조의 관점에서 다양한 언어적 표현과 능력을 살펴보고 이를 번역과 연결하여 연구하는 이론과목이다.
EL71648 오류분석과번역(Error Analysis & Translation)
본 과목은 한 언어에서 다른 언어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언어 및 문화적 오류를 분석하여 번역의 오류를 없애고 매끄럽고 정확한 번역능력을 훈련한다. 주로 난이도 높은 텍스트의 언어구조를 문체적인 측면과 문법적인 측면에서 분석한다.
EL70108 컴퓨터와번역(Computer & Translation)
오늘날 번역의 중요한 매개자로 떠오르고 있는 컴퓨터 번역의 가능성을 살펴보고 일반 언어와 컴퓨터 언어의 비교와 상호작용을 통해 번역의 지평을 확장하고자 하는 과목이다.
EL70126 영한문장구역(English-Korean Sight Translation)
영문 텍스트를 한글로 옮기는 과정으로, 다양한 장르와 분야에서 엄선한 텍스트를 대상으로 집중적으로 연습하는 과정이다.
EL70127 한영문장구역(Korean-English Sight Translation)
한글로 된 원본을 영어로 번역하는 과정으로, 한글 텍스트를 영어권의 독자들에게 우리의 문화와 정서로 잘 표현되도록 연습하는 과정이다.
EL71649 전문용어연구(Terminology Studies)
전문 직업인으로 활동하는 번역사를 지원하기 위한 대규모 전문용어 은행의 필요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 과정은 전문용어를 유형 별로 분류하여 그 조어의 경향을 밝힘으로서 예비 번역사들의 효율적 용어습득을 도모하고자한다.
EL71650 번역학특강(Topics in Translation Studies)
번역학의 주된 흐름을 살펴보고 번역학의 특정 주제를 선택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EL71651 번역교수법(Translation Pedagogy)
전문 번역사의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실질적인 번역 교수법 모색. 과목표, 수업계획표 작성, 번역 관련 소프트웨어 사용법, 효과적인 훈련 방법, 평가 등 현장에서 필요한 교수법을 고찰한다.
EL71652 기계번역(Machine Translation)
최근 인공지능(AI)분야, 인지과학 및 코퍼스언어학의 발달로 인해 가속도를 얻고 있는 기계번역 분야에 대한 이론적 소개와 접근을 통해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는 한편, 인간번역과 기계번역의 공존 가능성 등 앞으로의 전망을 살펴본다.
EL71653 번역의역사(History of Translation)
통역/번역의 역사에 대한 개괄함으로써 사회전체의 역사 및 문화 발달에 있어서 번역의 역할을 조명한다. 번역가들이 전체 사회/경제/정치/문화의 발달에 미친 역할을 다룬다.
EL71654 담화와번역(Discourse & Translation)
번역의 대상을 담화상황으로 인식하고, 담화분석 이론을 통해 번역시 제기되는 문제를 새롭게 이해하고 해결책을 강구할 수 있도록 한다.
EL70106 영상미디어론(Introduction to Film Media)
다양한 영상매체(영화, TV 프로그램, 비디오 등)의 특성을 살펴보는 한편, 오늘날 급변하는 미디어 문화의 환경변화를 이론적으로 고찰한다.
EL71656 주제특강(Special Lecture Series)
사회 각 분야별 전문가를 초청하여 특강을 개최함으로써 특정 주제에 대한 전문 주제지식을 습득함과 동시에 해당 분야에 대한 리포트를 제출해 새로운 지식의 정리를 돕는다.
EL71658 영상번역프로젝트(Film Translation Project)
실제 번역회사의 작업 환경 및 대형 번역 프로젝트 환경을 가상하여 학생들에게 대규모 프로젝트 관리 경험, 번역 용역 발주자와의 협력 경험 등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졸업 후 즉각 현장에서 활동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도록 훈련한다.
EL71659 고급영어숙달(Advanced English Training)
상당한 수준의 영어능력을 갖춘 학생들로 하여금 정치, 경제, 문화 등 보다 전문적인 내용의 영어를 중심으로 말하고 쓰는 고수준의 영어구사능력을 터득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EL70134 논문연구(Thesis Research)
최근의 언어학적 이론과 언어 분석, 원리에 대한 연구. 여기에는 음성학,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및 의미론의 제 분야가 포함된다
EL63581 영어학연구방법론(Theories and Methods in English Linguistics)
영어학의 제 분야(음운론, 통사론, 의미론, 화용론 등) 연구에 필요한 여러 언어 분석 이론들의 개관과 영어학 연구에 필요한 자료 수집, 정리, 논문 작성 과정의 기초 훈련이다.
EL66199 현대언어분석이론(Current Theories of Linguistic Analysis)
Chomsky 이론을 개관하면서 다른 여러 이론, 즉 기능 문법 이론, 관계 문법 이론 등을 터득케 한다.
EL69792 영어통사론(English Syntax)
영어의 여러 통사 현상들 및 그 현상들의 이론적 분석하여 영어의 문장구조를 정확히 이해하고 기술하는 기초를 형성한다.
EL63574 영어음운론연구(Studies in English Phonology)
영어의 음운체계 및 음운분석의 제 이론과 방법을 다룬다.
EL62525 영어의미론연구(Studies in English Semantics)
영어 의미론의 기본 개념들과 이론들을 개관한다.
EL71638 영어음성학연구(Studies in English Phonetics)
영어를 중심으로 인간언어의 소리체계에 대하여 조음적이고 음향적인 분석을 한다.
EL70486 생성음운론특강(Special Topics in Generative Phonology)
표준생성음운론과 그 이후의 여러 가지 수정 이론들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EL66776 음운론연구(Studies in Phonology)
인간언어의 음운체계 분석에 있어서 구조주의 음운론과 생성주의 음운론을 비교하면서 연구한다.
EL62558 생성음운론(Generative Phonology)
1960년대 이후에 나타난 생성음운론, 특히 자립분절음운론, 어휘음운론, 운율음운론과 최근의 최적성 이론들을 고찰한다.
EL63575 영어음운론특강(Special Topics in English Phonology)
영어음운 분석에서 중요 쟁점들을 생성음운론의 여러 가지 이론으로 분석한다.
EL63572 영어어형론(English Morphology)
역사적, 이론적 관점에서의 영어 낱말 형성에 관한 연구이다.
EL63573 영어어형론특강(Special Topics in English Morphology)
역사적, 이론적 관점에서의 영어 낱말 형성에 관한 연구이다.
EL63577 영어통사론연구(Studies in English Syntax)
영어 통사론 분야에서 논의되는 주요 주제들을 선정하여 주제별로 최근 발표된 여러 연구들을 분석 토의한다.
EL62448 생성통사론특강(Advanced Topics in Generative Syntax)
생성문법이론의 발달과정을 통해 중심적으로 다루어진 고급주제들을 선정하여 최근의 연구동향 및 미래의 전망을 집중적으로 논의한다. (Intensive investigation of major issues in the development of generative theory of grammar.)
EL71639 현대영문법연구(Studies in Modern English Grammar)
현대영문법의 언어학적 기술들을 검토한다. (Intensive investigation of linguistic descriptions of Modern English grammar.)
EL62454 영어통사론연습(Topics in English Syntax)
영어의 다양한 통사 현상들에 대한 선행연구 및 현재의 연구동향을 논의한다. (Discussion of previous literature and current trends in the research of various syntactic phenomena in the English language.)
EL63578 영어통사론특강(Advanced Topics in English Syntax)
영어통사 분석에서 쟁점이 되어 온 중요한 고급주제들을 중심으로 최근의 연구동향과 미래의 전망을 집중적으로 다룬다. (Intensive investigation of advanced topics in English Syntax.)
EL70874 의미론특강(Special Topics in Semantics)
의미론에서의 주요한 논의의 쟁점들을 주제별로 다룬다.
EL71640 영어의미론연습(Practice in English Semantics)
영어의 의미현상을 다양한 의미접근법으로 분석한다.
EL62535 형식의미론(Formal Semantics)
형식의미론의 기본 개념과 이론들을 텍스트를 중심으로 살핀다.
EL71641 의미론특수과제(Issues in Semantics)
최신의 의미론 주제들을 논문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EL71642 영어의미론세미나(Seminar in English Semantics)
인지의미론과 어휘의미론의 다양한 주제들을 고찰한다.
EL66783 화용론연구(Studies in Pragmatics)
언어 외적인 요소들이 언어 연구에 있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언어 연구의 폭을 넓힌다.
EL62340 사회언어학연구(Studies in Sociolinguistics)
사회와 관련된 언어 현상을 연구하는데, 특히 언어 변이형의 특성과 기능이 언어 공동체 속에서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변화하는지를 구명한다.
EL63311 심리언어학연구(Studies in Psycholinguistics)
언어학과 심리학과의 관계, 이론 언어학에서 제공하는 개념들의 심리적 타당성, 언어 습들 과정 (특히 아동 언어 습득), 의미와 사과와의 관계들에 관한 최근의 이론들을 개관한다.
EL63886 응용언어학연구(Studies in Applied Linguistics)
언어의 본질에 관한 이론적 지식을 바탕으로 언어가 주요소가 되는 실제 문제들 - 외국어 교육, 번역, 언어 정책, 스피치 병리학 등 - 의 개선에 대해 고찰하고, 특히 외국어 교육의 과학화 및 개선책에 관해 구명한다.
EL63470 역사및비교언어학연구(Historical and Comparative Linguistics)
현대 영어의 의미론, 음운론, 통사론, 어형론 등을 사적 및 비교 고찰을 통하여 그 발전 방향을 파악하고, 공시적 방법에서 부족한 면을 통시적 방법에서 보충함을 물론 영어 연구에 보다 깊이 있는 방법론을 제시 및 이해를 증진시킨다.
EL63571 영어사특강(Special Topics on the History of English)
영어가 현대 영어의 모습이 되기까지 고대, 중세, 근대 영어의 사적 고찰을 통하여 영어의 특징, 형태 및 문법에 대하여 이해하고, 현대 영어의 성립 과정과 특징을 파악하여 영어자체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증진시킨다.
EL63580 영어학연구(Studies in English Linguistics)
통사론, 음운론, 의미론, 화용론 등 영어학 전반에 대한 개관과 각 학문 분야들과의 교차 분야(interface)에 관해 살펴본다.
EL62888 논문연구(Thesis Research)
EL63546 영미문학연구방법론(Methodology of English Literary Researches)
영문학의 제 분야 (시, 소설, 희곡, 비평 등) 연구에 필요한 여러 문학이론과 관점들을 개관하고 영문학 연구에 필요한 자료 수집, 정리, 논문작성 등의 기초를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훈련한다.
EL71587 19세기영미낭만시세미나(Seminar on the 19th-century British & American Romantic Poetry)
① 19세기 영 미시의 낭만주의 사조를 연구한다.
② 19세기 영 미의 주요 작가와 작품을 연구한다.
EL71588 낭만주의이후의시연구(Studies in English & American Poetry after Romanticism)
낭만주의 이후에 이룩된 새로운 시학을 주된 시인과 작품의 분석을 통해 그 전개과정과 사상적 배경을 개괄한다.
EL69782 미국소설의기원과발전(Origin and Development of American Novel)
미국소설을 발생에서부터 19세기까지 발전해온 과정을 살피면서 그것과 영국소설과의 변별성을 점검해보고, 아울러 그것이 어떻게 미국국민문학으로서의 위치를 확립하면서 대표적인 문학 장르로 정착해 가는가를 이론과 작품을 통해서 규명한다.
EL71589 현대영국소설세미나(Seminar in Modern British Novel)
20세기 영국소설의 특징을 기법과 주제 면에서 살펴보고, 20세기 초 모더니즘부터 1950년 이전의 영국소설, 특히 Rudyard Kipling, Joseph Conrad, D. H. Lawrence, James Joyce, E. M. Forster, Virginia Woolf와 같은 작가의 작품을 읽고 분석한다.
EL66203 현대영국희곡연구(Studies in Contemporary British Drama)
J. Osborne 이후 영국 New Drama 작가들의 작품을 유럽의 연극 사조와 더불어 이해하게 된다.
EL69787 현대미국희곡연구(Studies in Contemporary American Drama)
20세기 초에서 최근에 이르기까지의 미국 극작가들의 작품을 통하여 미국희곡의 경향 및 특징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그 흐름을 고찰한다.
EL71590 이론과비평(Theory and Criticism) (영어강의)
Literature studies today are deeply involved with various postmodern critical theories to develop reading strategies to break genuinely from logocentric and ontological models of text interpretation. This seminar will enable you to understand what the reader really experiences while reading the literary text and how "literary criticism" is to be done. The main class materials will be selections from the writings by the philosophers and literary critics of the twentieth and twenty-first centuries, but we will also read and discuss ancient Eastern Taoists or Buddhists.
EL71591 문화이론연구(Studies in Cultural Theories)
영미 문화연구의 차원을 넘어서 최근 새롭게 등장하는 다양한 문화이론들과 그 양상들을 살펴보고 특히 문화이론의 장 자체의 변화를 검토하고자 한다.
EL71622 17세기이전영시세미나(Seminar on the English Poetry before the 17th-century)
① 소네트의 변천과정을 연구한다.
② 주요 작가의 작품과 사상을 연구한다.
EL71623 17세기영시세미나(Seminar on the 17th-century English Poetry)
① 형이상학 시와 밀턴 시를 연구한다.
② 주요 작가의 작품과 사상을 연구한다.
EL71624 근현대영미시특강(Special Topics in Modern English & American Poetry)
근현대영미시의 흐름을 개관정리하고, 주된 시인과 작품을 집중 분석 연구한다.
EL62435 영미시세미나(Seminar in British & American Poetry)
영미시의 시적 경향과 그 대표적인 작품을 분석하며 제 기법과 사상적 배경을 고찰한다.
EL71625 영미시비평연구(Studies in Criticism of English Poetry)
영미시의 비평조류를 개관정리하고 이를 주요 시인들의 작품에 적용하여 분석 해석한다.
EL69802 최근영미시연구(Studies in Contemporary English Poetry)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영미시의 시적 경향과 그 대표적인 작품을 분석하며 제 기법과 사상적 배경을 고찰한다.
EL69783 현대미국소설연구 I(Studies in Modern American Novel I)
20세기 전기 미국소설의 흐름을 개관 정리하고, 그 중 주요작가들과 작품들을 집중적으로 분석 연구한다.
EL69803 현대미국소설연구 II(Studies in Modern American Novel II)
20세기 후기 미국소설의 흐름을 개관 정리하고, 그 중 주요 작가들과 작품들을 집중적으로 분석 연구한다.
EL69804 미국소수민족문학연구(Studies in American Minority Literature)
미국 소수민족, 예컨대 아프리카계, 아시아계, 원주민계 미국문학의 흐름과 특성을 살펴보고 그 중 주요 작가 작품들을 집중적으로 조명해 본다.
EL60009 19세기영국소설연구(Studies in the 19th-Century English Novel)
19세기 영국소설의 전반적인 흐름과 특성을 개관하고, Jane Austen, Charles Dickens, Emily Bronte, Charlotte Bronte, George Eliot, Thomas Hardy 등 당대 주요 작가들의 대표작을 분석하고 연구한다.
EL69805 최근영국작가연구(Studies in Contemporary British Novelists)
2차 세계대전 이후 영국의 주요 작가―John Fowles, Martin Amis, Julian Barnes, Graham Swift, Angela Carter, Penelope Lively, Peter Ackroyd, Kazuo Ishiguro, Jeanette Winterson, etc―들의 작품을 연구하고 그들의 공통적인 특성을 고찰한다.
EL71628 최근영국소설연구(Studies in Contemporary British Novel)
최근 영국소설에 나타난 동향을 살펴보고 전후 대표적인 작가들―John Fowles, Doris Lessing, Jean Rhys, Julian Barnes, Ian McEwan, Graham Swift, Angela Carter, Zadie Smith 등―의 작품 경향과 그들의 공통적인 특성을 고찰한다.
EL69785 영국르네상스희곡연구(Studies in English Renaissance Drama)
Shakespeare를 제외한 영국 르네상스 시대 희곡 작가들의 작품들을 다룬다.
EL69807 현대문학이론과최근영미희곡(Modern Literary Theories and Contemporary British & American Drama)
최근 영미 드라마를 데리다, 라깡, 들뢰즈, 그리고 문화이론 등 다양한 현대 문학 이론과 함께 연구한다.
EL69808 사무엘베켓연구(Studies in Samuel Beckett)
사무엘 베켓의 드라마, 소설, 시 작품들을 다양하게 읽음으로써 그의 문학 세계에 대한 이해와 연구의 방향을 제시한다.
EL66467 희곡이론(Dramatic Theory & Criticism)
고대희랍시대부터 현대까지 세계 희곡이론들을 시대 및 사상적 배경을 통해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주요 작품과의 연관관계를 연구한다.
EL69951 셰익스피어연구(Studies in Shakespeare)
Shakespeare의 주요 작품들을 되도록 많이 읽는 동시에, 최근 Shakespeare 비평의 경향과 연구 성과를 고찰하게 한다.
EL71629 포스트모던극과공연(Postmodern Drama and Performance)
포스트모더니즘을 시기와 미학적 측면에서 이해하고, 포스트모던극의 형성과 수용을 문화이론이나 공연계보학과 연관지어 논의한다. 특히 역사와 기억, 인종과 성 소수자의 문제, 그리고 포스트모던극이 지닌 저항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EL71630 최신비평이론(Contemporary Theory and Criticism)(영어강의)
The main purpose of this seminar is to enable the students to understand correctly the presently debated critical theories for literary criticism. We will first spend almost all of the given time exploring the writings of the most prominent and influential contemporary thinkers. You will also find that poststructural critical theories truly need Eastern thinkers' precious contribution to its further development as we briefly examine the thought of such ancient Eastern philosophers as Laozi and Chuanzi. Then later, we will go on to prove the value of the theories as we see some movies and disscuss them.
EL71631 비평이론사(History of Theory and Criticism) (영어강의)
This course is a good opportunity learn the main stream of the history of ideas with the purpose of using them for literary criticism. We will examine the ideas of the such Western figure as Kant, Nietzsche, Heidegger, Bakhtin, Derrida Benjamin, Levinas, Lacan, Lyotard, Kristeva, and one ancient Buddhist text. The focus of the seminar will be on "language," "literature," and "ethics" that are matters of primary significance when it comes to literary criticism. Other theorists will be introduced or briefly mentioned in the class.
EL71632 문학, 미학, 세계(Literature, Aesthetics, and the World)(영어강의)
This course will lead the students to obtain knowledge of critical theory and aestherics and to use it for their work of criticizing literature and world. We will focus on "postmodern ethics," a wholly new issue that prevails more and more in criticism of literary texts, film and the world. First and foremost, the ethical relation(s) between the "Subject"/"Self" and the "Other(s)" is transphenomenal relation, and this relation constructs the hardcore reality of our everyday life. We will read and discuss texts of both Eastern and Western philosophies in the light of its potential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contemporary Western-American thought in critical theory and literary criticism.
EL71633 전지구화의문화이론(Cultural Theories of Globalization)
전지구화 시대 문화이론은 더 이상 일국의 민족적 문화이론을 탐구하는 데 국한되지 않고 문화 간 충돌과 교섭과 타협의 현상을 섬세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EL71635 탈식민문화이론연구(Studies in Decolonial Cultural Theories)
유럽중심주의적이고 백인중심주의적인 문화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한편 여성, 소수인종 등의 소수자적 시각에서 문화이론을 재구성하고자 한다.
EL71636 문학사상연구(Studies in Thoughts of Literature)
문학사상의 변화를 문화이론의 시각에서 살펴보는 한편 시대와 사회현실과의 관련 속에서 사고함으로써 문학의 고유한 특수성을 사상사적으로 조명하고자 한다.
EL62888 논문연구(Thesis Research)
EL71598 번역입문(Introduction to Translation)
일반적인 수준의 영어문장을 한국어로 옮기는 과정을 집중적으로 교육한다. 이 수업은 직역과 의역의 다양한 과정을 이론적이고 실제적으로 살펴보고 한국어와 영어의 논리전개방식의 차이를 살펴본다. 이 과목은 영한번역입문에서 영어와 한국어의 위치를 바꾼 것이다. 낮은 단계의 한국어 텍스트를 시작으로 한국어의 논리전개 방식이 영어로 어떻게 옮겨지는가를 살펴본다.
EL70120 번역이론(Translation Theory)
다양한 번역이론과 쟁점들을 소개하고 번역의 이론적 역사를 검토한다.
EL70121 고급한국어(Advanced Korean)
번역과목의 고급 단계로 학생들은 영상관련 텍스트나 번역관련 텍스트를 선정하여 실제로 번역하는 과목이다.
EL71614 고급영어(Advanced English)
초·중급 이상의 영어능력을 갖춘 학생들에게 보다 사회문화, 정치, 경제 등 보다 전문적인 내용의 영어문장을 읽고 쓰고 말하고 듣는 종합적 능력을 가르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EL70119 번역학연구방법론(Research Methodology in Translation Studies)
번역학의 다양한 영역들을 소개하고 번역학 연구에 필요한 접근방법의 이론적 기초를 개괄적으로 교육시키는 과목이다.
EL71617 영상번역(Translation of Film Scripts)
본 과목은 영상예술의 대화부분을 가장 공감할 수 있는 언어로 재창조하는 작업에 중점을 둔다. 극장용 외화, TV용 외화, 다큐멘터리, 만화 등 영상예술을 필요에 따라 더빙이나 자막으로 번역해 시청자에게 원작의 감동을 그대로 전달하는 방식을 훈련한다.
EL71643 번역과언어학(Translation and Linguistics)
언어학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이들 언어학적 지식이 번역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고찰한다.
EL71644 문학번역(Translation of Literary Texts)
문학번역의 정확한 지식을 바탕으로 시, 소설, 산문, 드라마 등 실제 여러 문학작품의 번역에 초점을 맞춘 과정이다. 영미 문학 작품 및 한국의 대표적인 문학작품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짐과 동시에 영한, 한영 번역을 양면으로 시도한다.
EL70116 과학기술번역(Translation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Texts)
과학기술 분야의 번역전략을 개괄한다. 학생들은 의학, 생화학, 환경, 기계공학, 건축, 컴퓨터·통신, 에너지 등의 다양한 텍스트를 번역하면서 문체, 구문, 문화 및 전문용어의 문제를 해결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학회지, 사용설명서, 특허문서 등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형태의 기술문서 작성법도 익힌다.
EL70133 사회문화번역(Translation of Social & Cultural Texts)
본과정은 단순한 의사소통이 아니라 다른 사회와 문화의 고유한 특질을 포착하여 문화적 차이를 번역하고 이해하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수사학적 스타일, 형식적 특성, 사회문화현상 등의 구체적 주제를 중심으로 탐구한다.
EL71645 산업경제번역(Translation of Industrial & Economic Texts)
세계 경제 및 금융, 통상 분야를 중심으로 기업의 각종 상업문을 포함한 다양한 텍스트를 번역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생들은 경제와 기업활동의 기본개념을 실제 텍스트에 적용하면서 이 분야의 전문용어에 대한 구사력도 함양한다.
EL71646 정치법률번역(Translation of Political and Legal Texts)
국제 위기, 협력, 개발, 정부구조 등이 관련된 현안문제 중심의 정치적 텍스트와 함께 사문서, 계약서, 조약, 법조문 등 일상적인 번역수요가 있는 법률 텍스트의 번역 경험을 제공한다.
EL71647 대조분석과번역(Contrastive Analysis & Translation)
언어학적 대조의 관점에서 다양한 언어적 표현과 능력을 살펴보고 이를 번역과 연결하여 연구하는 이론과목이다.
EL71648 오류분석과번역(Error Analysis & Translation)
본 과목은 한 언어에서 다른 언어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언어 및 문화적 오류를 분석하여 번역의 오류를 없애고 매끄럽고 정확한 번역능력을 훈련한다. 주로 난이도 높은 텍스트의 언어구조를 문체적인 측면과 문법적인 측면에서 분석한다.
EL70108 컴퓨터와번역(Computer & Translation)
오늘날 번역의 중요한 매개자로 떠오르고 있는 컴퓨터 번역의 가능성을 살펴보고 일반 언어와 컴퓨터 언어의 비교와 상호작용을 통해 번역의 지평을 확장하고자 하는 과목이다.
EL70126 영한문장구역(English-Korean Sight Translation)
영문 텍스트를 한글로 옮기는 과정으로, 다양한 장르와 분야에서 엄선한 텍스트를 대상으로 집중적으로 연습하는 과정이다.
EL70127 한영문장구역(Korean-English Sight Translation)
한글로 된 원본을 영어로 번역하는 과정으로, 한글 텍스트를 영어권의 독자들에게 우리의 문화와 정서로 잘 표현되도록 연습하는 과정이다.
EL71649 전문용어연구(Terminology Studies)
전문 직업인으로 활동하는 번역사를 지원하기 위한 대규모 전문용어 은행의 필요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 과정은 전문용어를 유형 별로 분류하여 그 조어의 경향을 밝힘으로서 예비 번역사들의 효율적 용어습득을 도모하고자한다.
EL71650 번역학특강(Topics in Translation Studies)
번역학의 주된 흐름을 살펴보고 번역학의 특정 주제를 선택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EL71651 번역교수법(Translation Pedagogy)
전문 번역사의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실질적인 번역 교수법 모색. 과목표, 수업계획표 작성, 번역 관련 소프트웨어 사용법, 효과적인 훈련 방법, 평가 등 현장에서 필요한 교수법을 고찰한다.
EL71652 기계번역(Machine Translation)
최근 인공지능(AI)분야, 인지과학 및 코퍼스언어학의 발달로 인해 가속도를 얻고 있는 기계번역 분야에 대한 이론적 소개와 접근을 통해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는 한편, 인간번역과 기계번역의 공존 가능성 등 앞으로의 전망을 살펴본다.
EL71653 번역의역사(History of Translation)
통역/번역의 역사에 대한 개괄함으로써 사회전체의 역사 및 문화 발달에 있어서 번역의 역할을 조명한다. 번역가들이 전체 사회/경제/정치/문화의 발달에 미친 역할을 다룬다.
EL71654 담화와번역(Discourse & Translation)
번역의 대상을 담화상황으로 인식하고, 담화분석 이론을 통해 번역시 제기되는 문제를 새롭게 이해하고 해결책을 강구할 수 있도록 한다.
EL70106 영상미디어론(Introduction to Film Media)
다양한 영상매체(영화, TV 프로그램, 비디오 등)의 특성을 살펴보는 한편, 오늘날 급변하는 미디어 문화의 환경변화를 이론적으로 고찰한다.
EL71656 주제특강(Special Lecture Series)
사회 각 분야별 전문가를 초청하여 특강을 개최함으로써 특정 주제에 대한 전문 주제지식을 습득함과 동시에 해당 분야에 대한 리포트를 제출해 새로운 지식의 정리를 돕는다.
EL71658 영상번역프로젝트(Film Translation Project)
실제 번역회사의 작업 환경 및 대형 번역 프로젝트 환경을 가상하여 학생들에게 대규모 프로젝트 관리 경험, 번역 용역 발주자와의 협력 경험 등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졸업 후 즉각 현장에서 활동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도록 훈련한다.
EL71659 고급영어숙달(Advanced English Training)
상당한 수준의 영어능력을 갖춘 학생들로 하여금 정치, 경제, 문화 등 보다 전문적인 내용의 영어를 중심으로 말하고 쓰는 고수준의 영어구사능력을 터득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EL70134 논문연구(Thesis Research)